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동기부여, 달성 동기부여

by 시그니처35 2024. 3. 22.
반응형

동기 부여는 어떤 목표를 향하여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는 일이나 원인을 말한다. 인간을 포함해서 동물이 행동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동기부여는 행동의 방향성을 정하는 요인과 그 정도를 정하게 되는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만약 동물이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 그 동물에는 동기부여가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또 그러한 행동의 정도가 어떤 정도인지에 따라서 그 동기부여의 크기의 차이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사회적으로 볼 수 있는 동기부여의 종류는 크게 달성 동기부여, 외부 발생적 동기부여, 자연 발생적 동기부여로 나뉠 수 있다. 

먼저 달성 동기부여는 평가가 수반되는 상황에서 높은 수준으로 그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는 모습의 동기부여를 뜻한다. 이 달성 동기부여를 말레이는 동기부여를 달성 요구 관점으로부터 인간은 자기 자신의 힘으로 높은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으며 이에 따라서 행동도 따른다고 가정하고 달성 동기부여는 성공 욕구와 실패를 하게 되었을 경우의 공포, 즉 성공 욕구와 실패 공포 두 개의 욕구로부터 구성된다고 말했다.

또한 애킨슨은 성공 욕구와 실패 공포의 두 가지 달성 욕구 요소는 유동적으로 변하는 주변 상황의 기대감이나 가치관도 중요한 작용을 하여 성공과 실패의 가치나 기대에 강하게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달성 행동에는 행동으로 일어난 결과의 원인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도 강하게 영향을 준다. 결과의 원인으로서는 보편적으로 4가지 요소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요소는 능력이나 노력, 우연성, 문제의 곤란성이다. 달성 동기가 다소 높은 사람들은 내적 요인인 노력이나 능력을 원인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은 편이고 반대로 달성 동기가 약한 사람은 외적 요인인 우연성과 문제의 곤란성에 원인이 귀속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다음으로 외부 발생적 동기부여는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동기부여가 아닌 다소 상벌이나 의무, 즉 강제성에 의해 일어나는 동기부여다. 외부 발생적 동기부여에 근거한 행동들은 설정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 발생적 동기부여에 근거한 행동은 행동 그 자체가 목적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을 두고 있다. 강제성이 있는 외부 발생적인 동기부여가 가장 자발성이 낮은 동기부여지만 스스로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나 인생 목표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율성이 높아진 외부 발생적 동기부여라고 볼 수 있다. 즉 외부 발생적 동기부여는 자연적 발생 동기부여와 동시에 성립할 수 있으며 또 자율성이 높아진 외부 발생적 동기부여는 자연발생적 동기부여와 같은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자연 발생적 동기부여는 관심이 가는 상황이나 호기심에 의해서 발생하는 동기부여를 말한다. 이 동기부여는 특히나 지적 호기심이 매우 높은 유아기에 잘 나타나는 동기부여다. 하지만 이 동기부여는 지적 호기심뿐만 아니라 자발성, 즉 스스로 과제를 정하고 그것을 달성하려고 하는 상황에서는 자신이 중심이 되어 자발적으로 사고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과 그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이러한 자연 발생적 동기부여로 일어나는 행동들은 보다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며 지속 가능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동기부여를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도전적이거나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만족감을 갖는 것이 이 이 동기부여를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