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는 정신적인 자극과 신체적인 자극으로 인한 변화를 일으키는 정신적 긴장감, 압박 등을 뜻한다. 이 스트레스는 심리학에서나 생물학에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경계하고 대항하려는 심신의 변화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반응은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위협을 받거나 도전을 받을 때 신체를 보호하고자 일어난다. 외부에서 오는 압박이나 부담을 받게 되면 불안, 긴장, 흥분 같은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런 외부에서 받는 압력들을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말하고 그 상황에서 벗어나 원상 복귀하려는 반작용을 스트레스라고 한다. 체내에는 어떠한 자극에 대응하기 위해서 스스로 변화하게 하는 작용이 있고 그 변화는 자극 내용을 불문하고 일정하다고 한다. 한스 셀리에는 이러한 사실에 기초해 '일반 적응 증후군'을 발표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이란 스트레스 결과가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고 적응이라는 것은 스트레스 원인에서 신체를 대처하거나 적응하게 한다는 의미이며 증후라는 것은 스트레스 결과에 의해 어떠한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응증후군은 스트레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우리의 인체는 일정한 반응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면 인체는 생리적으로 원상 복귀하려고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정면으로 투쟁하게 되거나 스트레스에서 도망치게 된다.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응해서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을 보인다. 즉 이것은 싸움-도주 반응을 하는 과정이다. 과한 스트레스 조건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동기 수준이 지나치게 높아지면서 주어진 문제를 극도로 축소되어 몇 가지 제한되어 있는 문제 해결에만 집착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운동선수가 정신적으로 기록에 대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보다 더 중요한 경기에서는 자신의 기록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스트레스가 과도하면 불안을 일으키게 되고 이런 불안은 신체가 떨리는 생리적인 자동 반응을 일으켜 문제 해결을 간접적으로 방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지금 앞에 직면해 있는 불안을 없애고자 하는 동기에만 집중하게 되고 매우 위험한 상황에 부닥쳐있거나 중요한 일이 있을 때 말을 더듬기도 하고 손발이 떨리는 듯이 방어적 대처 행동에 더 많이 집중하게 된다. 스트레스 수준은 적당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스트레스 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스트레스 수준을 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기법과 심리요법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기술들은 계속해서 다양화하게 될 것이다. 스트레스 관리의 일반적인 중요한 목적은 일상 기능을 개선하는 것에 있다.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기계나 장치들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는 산업인 스트레스 산업도 있는데 실내를 꽃향기로 메우거나 숲의 신선함과 싱그러움, 잔잔한 음악 소리 등으로 채워주는 장치나 특수 용액 등을 사용해서 몸을 담그거나 긴장을 해소하는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기술들 대부분은 우리가 버리지 못하는 스트레스를 다루고 있는데 일부 기술 중에서는 일반 스트레스를 수준보다 낮추어 일시적으로나마 생리적인 문제들을 보상해 주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기술 중 인지 요법은 인지 치료라고도 불리는데 심리 요법 중의 일종이다. 인지 요법은 더 큰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접근 방법 가운데 하나로 지금과 여기를 강조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지의 변화를 촉진하는 목표지향적이면서 해결 중심적인 치료 방법이다. 정신 건강을 향상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증거 기반 학습으로 생각, 정서, 행동이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개개인들은 문제를 극복하고 도움이 되지 않거나 문제 행위, 고통스러운 감정 변화를 식별하고 변화시킴으로써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이해와 예측을 목적으로 인간이나 다른 동물의 하나 이상의 인지 과정을 근사화한 인지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 외에도 간단하게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심호흡, 운동, 취미 갖기, 시간 관리, 계획, 스파 등 다양한 기술들이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 MBTI 유형 (0) | 2024.04.23 |
---|---|
자기조절, 자기관리 (1) | 2024.03.30 |
동기부여, 달성 동기부여 (0) | 2024.03.22 |
보상 기능, 도파민 (0) | 2024.03.21 |
방어기제 단계, 방어기제 심각도 (0)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