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우주 시간 여행, 웜홀

웜홀은 우주의 시간과 공간의 벽에 난 구멍에 비유할 수 있는데 우주 공간에서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는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상으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사과 표면에 벌레가 있다고 가정해 보면 이 벌레가 사과의 정 반대편으로 가려면 표면을 따라가는 것보다 사과의 중심으로 지나가는 게 더 빠르다. 이때 사과가 중심을 관통하는 웜홀이 생기는데 이 웜홀은 사과의 표면보다 고차원적이면서도 서로 다른 사과의 표면을 이어주는 최단 경로가 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시공간의 다른 지점을 연결하는 고차원적인 구멍이라는 뜻으로 웜홀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또한 웜홀은 위상학적 관점에서 우주 내부 웜홀, 즉 같은 우주의 두 지점 사이의 웜홀 경계가 위상학적으로는 명백하다고 하지만 내부 공간 ..

카테고리 없음 2024. 2. 18. 12:34
목성의 위성, 갈릴레이 위성 중 유로파

유로파는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으로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이다. 유로파 위성은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가장 작다고 하지만 태양계의 모든 위성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크다고 한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한 유로파 위성은 세 개의 다른 위성인 이오, 가니메데, 칼리스토와 함께 발견되었다. 유로파는 충돌구와 산의 수가 적기 때문에 태양계에서 매끄러운 천제 중에 속한다고 한다. 그러나 유로파의 적도에 10m 높이를 가진 얼음 스파이크가 있는데 수직으로 내려오는 햇빛의 영향으로 얼음이 녹아서 균열이 생긴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이는 페니 텐트라고 불린다. 또한 유로파의 십자 지형은 알베도 지형인 것으로 보이는데 알베도 지형이란 태양계 천체의 표면에서 반사율이 다른, 즉 눈에 띄게 밝거나 어두운 부..

카테고리 없음 2024. 2. 17. 15:16
이오, 목성의 위성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목성의 위성 중에 하나로 이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여인 중 한명이자 헤라의 여사제인 이오의 이름을 가져와서 지어졌다고 한다. 목성의 위성으로는 갈릴레이 위성이라고 불리는 유로파, 칼리스토, 가니메데가 있는데 이 목성의 위성 중에서 세 번째로 크며 지름은 3,642km로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큰 위성이라고 한다. 이오는 목성의 중심부에서부터 42만 1700킬로미터에 떨어져 공전하고 있으며 목성을 한 번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2.5시간으로 비교적 빠른 속도라고 한다. 이오는 달이나 다른 갈릴레이 위성들처럼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가 일치하며 목성을 향해 한쪽 면만을 계속 향하고 있다. 또한 이오는 갈릴레이 위성 중 가장 안쪽 궤도에서 돌고 있으며 그 궤도는 목성의 또 다른..

카테고리 없음 2024. 2. 16. 16:33
목성의 위성, 칼리스토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다른 목성의 위성과 함께 발견한 칼리스토는 목성의 위성으로 같은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태양계에서는 3번째로 큰 위성이라고 한다. 이 칼리스토라는 위성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가 사랑을 나눴던 요정 칼리스토의 이름으로 지었다고 한다.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km로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지니고 있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므로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떨어져 목성을 공전한다. 칼리스토의 자전 주기 및 공전 주기는 약 16일 정도라고 한다. 궤도는 목성의 적도 기준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칼리스토 자신보다 질량이 큰 목성을 공전 및 자전할 때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일치하는 조..

카테고리 없음 2024. 2. 16. 07:56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한은희희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