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프리랜서로 일을 한다는 것은 자유로운 근무 환경을 가졌다는 것이 큰 장점이지만 세금 문제는 절대로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프리랜서 3.3% 원천징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3.3%의 의미, 세금 신고 방법, 준비 서류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3.3% 원천징수란?

    프리랜서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개념으로 3.3% 원천징수라는 것은 세무사 '사업소득'으로 간주하는 프리랜서 수입으로 소득세 3%와 주민세 0.3%를 고용주가 사전에 원천징수 하여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실제 금액 96.7%만 입금이 되고 나머지 3.3%는 이미 세금으로 빠져나간 경우를 뜻합니다. 프리랜서 입장에서는 돈이 떼인 느낌이 들지만 그게 아니고 선납 세금인 셈입니다. 또한 연말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서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원천징수는 고용주가 해야 할 의미이기 때문에 프리랜서 입장에서는 지급 명세서를 받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도 지급 명세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세금을 신고할 때 이를 근거로 환급 또는 추가 납부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원천징수를 하지 않고 돈을 받았다는 것은 그 소득은 무기명 소득으로 간주하여 더 높은 세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 프리랜서 3.3% 세금 신고와 환급 방법

    3.3% 세금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서 정산합니다. 신고 시기는 다음 해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이며 국세청 홈택스에서 비대면으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3.3%로 이미 납부했던 세금은 선납금으로 간주하여 실제 소득에 따라서 환급받거나 추가로 납부하게 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시 카드 내역, 영수증, 통신비 등으로 업무 관련 비용을 최대한 공제받아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모두채움신고서'를 이용하면 본인의 소득과 지출이 자동으로 채워지게 되는데 이는 비교적 쉽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단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면 수동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또한 경비 처리가 쉽지 않은 사업장은 세무서와 상담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놓치기 쉬운 것들부터 꼼꼼하게 잡아주기 때문입니다. 

     

     

     

     

     

    3. 결론 

    3.3% 원천징수는 단순한 공제가 아닌 나중에 환급받을 수 있는 선납 세금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지급명세서 확인, 경비 처리, 종합소득세 신고 등 처음에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제대로 준비하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지금 바로 홈택스에 접속하여 자신의 소득 내역을 확인하고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으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서 준비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작은 습관들이 모여 큰 절세가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