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어느 날 문득 친구가 건강검진 받으러 갔다 왔어~ 무료로!"라고 말했다면 나한테는 그런 안내문이 안 왔는데? 이런 의문 한 번쯤 들어보신 적 있으시지 않으신가요? 건강검진은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는 무료 서비스 제도지만 언제, 어디서, 어떻게, 누가 대상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 방법부터, 검진 항목과 주의 사항까지 정리해 놓았습니다.
국가건강검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주관하며 대상자에게 무료 또는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건강검진 제도입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건강검진 대상자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직장가입자(만 20세 이상 직장인) - 비사무직이라면 매년, 사무직은 2년 주기로 실시합니다.
2. 지역가입자 (만 20세 이상 세대주 또는 세대원 중에 일정 조건이 충족된 경우) - 이때는 주민등록상 기준으로 선정합니다.
3. 피부양자 (만 20세 이상) - 일정 소득/재산 조건에 충족될 경우 해당합니다.
※ 2025년 기준으로는 200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즉 만 20세 이상)부터 적용 대상입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1. 홈페이지 방문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후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 [건강 in] → [건강검진] → [건강검진 대상 조회]
2. 모바일 앱
'THE 건강보험' 앱 설치 후 로그인을 진행한 후 건강검진 메뉴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3. 고객센터 전화번호
1577-1000
운영 시간 :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건강 검진 예약 시 주의 사항
1. 건강검진은 대상자 본인이 직접 예약 진행을 해야 합니다.
2. 대상자라고 할지라도 검진 유효기간 (해당 연도) 안에 검사받지 않으면 무효 처리됩니다.
3. 암 검진은 해당 연령에 도달할 경우 별도 안내문이 발송됩니다.
4. 건강검진 결과는 병원에서 직접 확인이 가능하며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결론
건강검진은 미래를 위한 기본적인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쁜 일상으로 귀찮다는 이유만으로 건강검진을 미루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초기에 질병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는 건강검진뿐이며 그 기회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내가 대상자인지 알고 싶다면 지금 바로 아래 링크 클릭해서 조회해 보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랜서 3.3% 원천징수와 세금 신고 방법 (1) | 2025.05.14 |
---|---|
종합소득세 환급일 (0) | 2025.05.13 |
셀프 에어컨 청소하는 순서 (1) | 2025.05.11 |
교황 선출 방법 (3) | 2025.05.10 |
소상공인 철거지원금 신청하는 방법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