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14 동기부여, 달성 동기부여 동기 부여는 어떤 목표를 향하여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는 일이나 원인을 말한다. 인간을 포함해서 동물이 행동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동기부여는 행동의 방향성을 정하는 요인과 그 정도를 정하게 되는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만약 동물이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 그 동물에는 동기부여가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또 그러한 행동의 정도가 어떤 정도인지에 따라서 그 동기부여의 크기의 차이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사회적으로 볼 수 있는 동기부여의 종류는 크게 달성 동기부여, 외부 발생적 동기부여, 자연 발생적 동기부여로 나뉠 수 있다. 먼저 달성 동기부여는 평가가 수반되는 상황에서 높은 수준으로 그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는 모습의 동기부여를 뜻한다. 이 달성 동기부여를 말레이는 동기부여를 달.. 2024. 3. 22. 보상 기능, 도파민 도파민은 다양한 종류의 동물 중추 신경계에서 호르몬과 신경 전달 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신경전달물질로써 신경계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인 뉴런, 즉 신경세포들 사이에 전달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도파민 수용체와 그 변종을 활성화한다. 이때 중간뇌에 있는 검은 갈색의 큰 회백질로 신경 세포가 많이 모여 있어서 골격근의 무의식적인 운동을 담당하는 흑색질과 척추 피개부를 포함하여 뇌의 여러 영역에서 합성된다고 한다. 또한 호르몬으로써 2개의 시상 사이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 시상하부에서 주로 합성되는데 뇌하수체의 전엽에서 프로락틴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고 한다. 여기서 프로락틴은 PRL유전자에 의해 부호화되는 인간의 단백질을 말한다. 도파민은 주로 중뇌 변연계 경로를 통해서 보상이나 처벌에 기여.. 2024. 3. 21. 방어기제 단계, 방어기제 심각도 인간은 불안감을 원치 않으며 그 속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불안을 피하려고 노력하는데 이러한 갈등이나 불안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어기제 정도를 단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정신과 의사 조지 발리언트는 크게 병적 방어기제, 미성숙 방어기제, 신경증적 방어기제, 성숙 방어기제 4단계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병적 방어기제 - 망상적 투자, 왜곡, 자기부정 심각한 병적 수준의 방어기제에 해당하는 이 단계는 방어기제들이 동시에 나타나게 되면서 외부적인 경험을 재정비하여 현실 세계에 대한 욕구를 없애버리려고 하는 단계다. 이러한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합리적이지 않거나 제정신이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망상적 투사는 외적 현실.. 2024. 3. 19. 방어기제, 방어기제 종류, 심리, 심리학 방어 기제는 스스로 받아들일 수 없는 잠재적인 불안의 위협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실질적인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조절 또는 왜곡하면서 마음의 평정심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학적인 메커니즘이다. 방어 기제는 불안의 정도나 성격의 발달 수준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지면 그중에서도 공통적인 두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는 방어 기제는 사실을 왜곡시키거나 아예 거부한다는 점이고 두 번째로는 방어 기제가 발동될 때는 무의식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은 자아에 닥친 위험 요소를 알려주는 신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불안은 세 가지 자아 간의 갈등으로 끊임없이 일어나게 되는데 자아는 원초아라고 하는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자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와의 갈.. 2024. 3. 1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