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2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 해왕성은 태양계의 8개의 행성 중 여덟번째 마지막 행성이다. 해왕성이 발견되고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해왕성을 천왕성 바깥 행성으로 불렀다고 한다. 해왕성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에서 직경으로는 4번째로 크고, 질량으로는 중간 정도인 3번째로 크다고 한다. 해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15배인 쌍둥이 행성 천왕성보다 약간 더 무겁다고 한다. 해왕성의 적도 반지름은 지구의 거의 4배라고 한다. 해왕성과 태양의 평균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인 대략 30배에 해당하는 45억 1,300만 km이다. 해왕성이 태양을 한번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164.79년이고 궤도 경사각은 지구에 비해 1.77 도 기울어져 있다. 또한 해왕성의 자전축 기울기는 28.32도로 지구와 화성의 자전축 기울기와 비슷하다고 한다. 그렇.. 2024. 2. 14.
얼음 거대 행성, 천왕성 천왕성은 태양계의 일곱번째 행성으로 기존의 다섯 행성처럼 맨눈으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왕성은 매우 느리게 움직이고 게다가 어둡기 때문에 그 천왕성의 존재가 오랜 기간 동안 인류에게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심지어 천왕성은 여러 다른 천문학자들에게 맨눈으로 관측되기도 하였으나 그들은 모두 천왕성을 평범한 어두운 별이라고만 생각하였다. 천왕성은 맨눈이 아닌 기술 망원경을 이용하여 발견한 최초의 행성이기도 하다. 천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14.5배로 가스 행성 중에서 가장 가볍고 밀도 또한 토성 다음으로 낮다고 한다. 천왕성의 반지름은 해왕성보다 조금 더 크나 밀도가 보다 낮기 때문에 해왕성보다 작다고 한다. 천왕성은 다른 가스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천왕성은 디스크 형태의 영역인 고리와 천체 둘레를 도.. 2024. 2. 14.
별똥비, 혜성 혜성이 충분히 밝아지면 지구에서 망원경의 도움 없이도 관찰할 수 있으며 혜성은 고대 시대부터 계속 관측되어 오면서 여러 문화와 종교에서 관련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혜성은 주변을 덮고 있는 대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소행성과 차이점을 두고 있다. 혜성은 태양에 가까워짐에 따라 기체를 방출하는 태양계의 천체 중 행성이나 왜행성보다 작고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하는 태양계 소천체로 태양의 상부 대기층에서 방출된 전하 입자인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핵 주변의 성운과 같은 덮개인 코마와 꼬리가 생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혜성 주변에 기체와 먼지를 주로 이루고 있는 매우 옅은 대기를 코마라고 부르는데 이 코마가 태양풍의 전자기파에 노출된 물체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뜻하는 복사압을 받아 태양 반대 방향으로 흘러 .. 2024. 2. 13.
우주 망원경-허블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 망원경 우주망원경은 지구 대기권 바깥에 위치한 우주 공간에 올려져서 천문학 관측을 행하는 과학 기기를 말한다. 지구는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빛이 외계에서 지구로 도달하려면 지표면에 닿기 전에 대기층을 지나야 한다. 이때 대기층에 존재하는 기체들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에게 엄청나게 치명적인 X-선, 자외선, 감마선 등을 우주로부터 흡수하기 때문에 가시광선과 전파만이 대기를 지나서 지상에 도달하게 된다. 대기권이 이러한 것들을 흡수하는 덕분에 우리는 지구상에서 안전하게 살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천체로부터 오는 빛 중 가시광선과 전파 영역을 제외한 다른 파장의 빛은 모두 대기에 의해서 차단 되거나 흡수되기 때문에 관측할 수 없다는 점도 있다. 또한 지상에서 관측했을 때 대기가 흔들리거나 하는 상황이 있을 경.. 2024.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