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17

존재하는 모든 것, 우주 우주는 "존재의 총체" 또는 존재하는 모든 것, 전부로 정의 되며 물리적인 관점에서 우주는 공간과 시간과 그 내용으로 정의된다. 우주 안에 있는 내용물들은 아주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것들은 전자기 복사 및 물질, 행성, 위성, 별, 은하 및 은하 간 공간의 내용물들을 모두 포함 한다. 우주의 진화에 대해 지배적인 모형은 대폭발 이론이며 이러한 대폭발 모형은 초기의 우주 상태는 극도로 뜨겁고 밀도가 아주 높은 상태에서 이후에 우주는 팽창하게 되고 냉각이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대폭발 이론에 따르면 처음에 존재하는 에너지와 물질은 우주의 팽창함에 따라 밀도가 낮아졌는데 급팽창 시대라고 불리는 초기 가속 팽창, 그리고 알려진 네 가지 기본 힘의 분리 이후에 우주는 점차 냉각되고 계속 팽창.. 2024. 2. 19.
우주의 탄생, 대폭발 이론, 빅뱅 우주가 탄생하게 되었다는 이론으로 대폭발 이론은 우주의 발달에 대한 가장 지배적인 우주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주가 한 점으로 되어 있다가 폭발하여 팽창하고 있다는 이론으로 폭발을 한 우주는 팽창하면서 온도가 내려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입자가 생겨나고 물질 밀도의 요동은 차츰 성장하여 은하와 별로 성장하였다. 오랜 시간 동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던 물질보다 밀도가 약간 더 높은 영역은 중력에 의해 주변에 있던 물질을 끌어당겨서 더 밀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우리가 오늘날에 관측할 수 있는 가스 구름, 별, 은하 및 기타 천문학적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우주에 있는 물질의 양과 유형에 따라 여러 가능한 유형의 물질로 따르는데 차가운 암흑물질, 따뜻한 암흑물질, 중입자 물질로 알려져 있다... 2024. 2. 19.
우주 시간 여행, 웜홀 웜홀은 우주의 시간과 공간의 벽에 난 구멍에 비유할 수 있는데 우주 공간에서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는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상으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사과 표면에 벌레가 있다고 가정해 보면 이 벌레가 사과의 정 반대편으로 가려면 표면을 따라가는 것보다 사과의 중심으로 지나가는 게 더 빠르다. 이때 사과가 중심을 관통하는 웜홀이 생기는데 이 웜홀은 사과의 표면보다 고차원적이면서도 서로 다른 사과의 표면을 이어주는 최단 경로가 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시공간의 다른 지점을 연결하는 고차원적인 구멍이라는 뜻으로 웜홀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또한 웜홀은 위상학적 관점에서 우주 내부 웜홀, 즉 같은 우주의 두 지점 사이의 웜홀 경계가 위상학적으로는 명백하다고 하지만 내부 공간 .. 2024. 2. 18.
목성의 위성, 칼리스토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다른 목성의 위성과 함께 발견한 칼리스토는 목성의 위성으로 같은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태양계에서는 3번째로 큰 위성이라고 한다. 이 칼리스토라는 위성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가 사랑을 나눴던 요정 칼리스토의 이름으로 지었다고 한다.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km로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지니고 있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므로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떨어져 목성을 공전한다. 칼리스토의 자전 주기 및 공전 주기는 약 16일 정도라고 한다. 궤도는 목성의 적도 기준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칼리스토 자신보다 질량이 큰 목성을 공전 및 자전할 때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일치하는 조.. 2024.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