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랙홀4

블랙홀 종류 - 슈퍼매시브 블랙홀 슈퍼 매시브 블랙홀이라고 불리는 초대질량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의 질량 수십만 또는 수십억 배에 달하는 것으로 블랙홀 중에서 가장 큰 유형의 블랙홀이라고 한다. 블랙홀은 중력 붕괴를 겪었던 천체의 종류 중 한 가지로 한번 들어가게 된다면 그 어떤 것도 빠져나갈 수 없는 구를 으깬 모양의 곡면인 타원면 우주 영역이라고 한다. 여기서 우주 구조 형성의 중심에 있는 중력 붕괴란 천문학에서 중력에 의한 영향으로 무거운 천체가 중심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모든 다른 힘들이 중력과 균형을 이루는 충분한 압력을 만들어내게 되면 무거운 천체는 평형 상태를 이르게 되고 최초에 골고루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던 물질이 붕괴하게 되면서 은하단이나 성단, 항성과 행성 같은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중력 붕.. 2024. 2. 23.
우주 시간 여행, 웜홀 웜홀은 우주의 시간과 공간의 벽에 난 구멍에 비유할 수 있는데 우주 공간에서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는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상으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사과 표면에 벌레가 있다고 가정해 보면 이 벌레가 사과의 정 반대편으로 가려면 표면을 따라가는 것보다 사과의 중심으로 지나가는 게 더 빠르다. 이때 사과가 중심을 관통하는 웜홀이 생기는데 이 웜홀은 사과의 표면보다 고차원적이면서도 서로 다른 사과의 표면을 이어주는 최단 경로가 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시공간의 다른 지점을 연결하는 고차원적인 구멍이라는 뜻으로 웜홀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또한 웜홀은 위상학적 관점에서 우주 내부 웜홀, 즉 같은 우주의 두 지점 사이의 웜홀 경계가 위상학적으로는 명백하다고 하지만 내부 공간 .. 2024. 2. 18.
사건의 지평선과 작용권, 블랙홀 블랙홀은 질량이 너무 커서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존재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초신성 폭발 직후 무거운 별이 중력 붕괴하여 만들어진 밀집성의 일종인 중성자별이 되지 못한 항성이 진화의 최종단계에서 폭발 후 수축하여 생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하여 그 무엇도 한번 들어가게 되면 절대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다. 시공간은 공간의 3차원과 시간의 1차원을 한 단일 4차원 연속체로 융합하는 수학적 모형이다.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하는데 이 사건의 지평선 존재는 블랙홀의 결정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사건의 지평선이라는 이름은 그 경계에서 '사건'이 벌어지는데 그 사건에 대한 정보는 외부의 관찰자에게 도달할 수 없.. 2024. 2. 12.
우리은하 이해하기 우리은하는 지구에서 보이는 은하면에서 별들에 의해 만들어진 옅은 띠의 빛을 의미하는 의미로 한국에서는 '은하' 또는 '은하수', 제주도에서는 '미리내'라고 부른다. 이 밝은 띠는 많은 양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은하에는 은하의 중심과 은하의 북극이 같이 존재하는데 우리은하에는 4000억 개의 별이 있다고 한다. 우리은하는 늙고 오래된 별들이 공 모양으로 밀집한 중심핵과 그 주위를 젊고 푸른 별이나 먼지, 가스 등으로 이루어진 나선팔이 원판 디스크 모양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그 외곽에는 우주 물질의 약 80%를 차지하는 암흑물질로 이루어진 성간물질과 구상성단으로 구성된 은하 전체를 감싸듯이 구형으로 희박하게 분포하고 있는 구름 같은 헤일로나 주로 가스, 먼지 등의 일부 별이 타원형 형태로 은하 주위를 감.. 2024.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