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성6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 트리톤 트리톤 위성은 태양계 위성 중에서 일곱 번째로 크다고 한다.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라셀이 1846년 10월 10일에 발견했던 트리톤 위성은 직경이 2,706.8km로 해양성의 가장 큰 위성이자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에 속한다고 한다. 태양계의 알려진 위성 중에 트리톤보다 작으면서 무거운 위성은 없다고 한다. 해왕성의 위성인 트리톤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 또는 로마 신화의 넵투누스의 아들이자 바다의 신인 트리톤에서 따왔다고 한다. 트리톤은 모행성의 자전과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위성 중에서 가장 크다. 태양계의 큰 위성 중에서 유일하게 자기 행성 주위를 역행하는 위성이다. 목성, 토성, 천왕성 외곽의 불규칙한 위성들은 역행 궤도를 가지고 있는 것들이 많고 천왕성 외곽의 위성들도 마찬가지.. 2024. 2. 26.
명왕성의 이해, 왜소행성 명왕성은 1930년 2월 18일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고 한다. 해왕성이 발견된 후에 이 행성의 궤도에도 오차가 있을 것으로 밝혀지게 되면서 이러한 이유는 해왕성 바깥쪽에 위치한 다른 행성이 존재한다고 보고 있었다. 즉 해왕성 너머로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행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었는데 사실 명왕성의 크기는 아주 작은 편에 속하고 해왕성보다 훨씬 크기가 작은 명왕성이 해왕성의 궤도에 지장을 주기에는 질량이 너무 작아 이러한 계산법으로 명왕성이 발견되었다기보다는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한다. 명왕성은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의 위성인 달과 비교해 보았을 때 질량은 1/6이고 부피는 1/3 정도밖에 안 된다고 한다. 공전 주기는 약 248년 정도이.. 2024. 2. 21.
목성의 위성, 갈릴레이 위성 중 유로파 유로파는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으로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이다. 유로파 위성은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가장 작다고 하지만 태양계의 모든 위성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크다고 한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한 유로파 위성은 세 개의 다른 위성인 이오, 가니메데, 칼리스토와 함께 발견되었다. 유로파는 충돌구와 산의 수가 적기 때문에 태양계에서 매끄러운 천제 중에 속한다고 한다. 그러나 유로파의 적도에 10m 높이를 가진 얼음 스파이크가 있는데 수직으로 내려오는 햇빛의 영향으로 얼음이 녹아서 균열이 생긴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이는 페니 텐트라고 불린다. 또한 유로파의 십자 지형은 알베도 지형인 것으로 보이는데 알베도 지형이란 태양계 천체의 표면에서 반사율이 다른, 즉 눈에 띄게 밝거나 어두운 부.. 2024. 2. 17.
목성의 위성, 칼리스토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다른 목성의 위성과 함께 발견한 칼리스토는 목성의 위성으로 같은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태양계에서는 3번째로 큰 위성이라고 한다. 이 칼리스토라는 위성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가 사랑을 나눴던 요정 칼리스토의 이름으로 지었다고 한다.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km로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지니고 있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므로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떨어져 목성을 공전한다. 칼리스토의 자전 주기 및 공전 주기는 약 16일 정도라고 한다. 궤도는 목성의 적도 기준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칼리스토 자신보다 질량이 큰 목성을 공전 및 자전할 때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일치하는 조.. 2024.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