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양계13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 트리톤 트리톤 위성은 태양계 위성 중에서 일곱 번째로 크다고 한다.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라셀이 1846년 10월 10일에 발견했던 트리톤 위성은 직경이 2,706.8km로 해양성의 가장 큰 위성이자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에 속한다고 한다. 태양계의 알려진 위성 중에 트리톤보다 작으면서 무거운 위성은 없다고 한다. 해왕성의 위성인 트리톤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 또는 로마 신화의 넵투누스의 아들이자 바다의 신인 트리톤에서 따왔다고 한다. 트리톤은 모행성의 자전과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위성 중에서 가장 크다. 태양계의 큰 위성 중에서 유일하게 자기 행성 주위를 역행하는 위성이다. 목성, 토성, 천왕성 외곽의 불규칙한 위성들은 역행 궤도를 가지고 있는 것들이 많고 천왕성 외곽의 위성들도 마찬가지.. 2024. 2. 26.
그 끝을 알 수 없는 태양계 오랜 시간 동안 인류는 태양계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며 살아왔다. 그때 당시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고 움직이지 않으며 하늘에서 움직이는 다른 천체와는 절대적으로 다른 존재라고 믿고 있었다. 최초로 태양 중심설을 예측한 사람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이며 17세기에는 그의 계승자인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요하네스 케플러가 물리학에 대한 이해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으며 행성은 지구를 제어하는 힘과 같은 힘으로 제어된다는 의견들이 수용되었고 좀 더 나아가 최근에는 망원경 기술이 발달하게 되고 무인 우주선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른 행성에도 산맥이나 충돌구 등과 같은 다양한 지질학적인 현상과 구름, 모래 폭풍과 같은 기상학적인 현상을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태양계는 항성인 태양과 그 중력.. 2024. 2. 24.
명왕성의 이해, 왜소행성 명왕성은 1930년 2월 18일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고 한다. 해왕성이 발견된 후에 이 행성의 궤도에도 오차가 있을 것으로 밝혀지게 되면서 이러한 이유는 해왕성 바깥쪽에 위치한 다른 행성이 존재한다고 보고 있었다. 즉 해왕성 너머로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행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었는데 사실 명왕성의 크기는 아주 작은 편에 속하고 해왕성보다 훨씬 크기가 작은 명왕성이 해왕성의 궤도에 지장을 주기에는 질량이 너무 작아 이러한 계산법으로 명왕성이 발견되었다기보다는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한다. 명왕성은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의 위성인 달과 비교해 보았을 때 질량은 1/6이고 부피는 1/3 정도밖에 안 된다고 한다. 공전 주기는 약 248년 정도이.. 2024. 2. 21.
목성의 위성, 갈릴레이 위성 중 유로파 유로파는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으로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이다. 유로파 위성은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가장 작다고 하지만 태양계의 모든 위성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크다고 한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한 유로파 위성은 세 개의 다른 위성인 이오, 가니메데, 칼리스토와 함께 발견되었다. 유로파는 충돌구와 산의 수가 적기 때문에 태양계에서 매끄러운 천제 중에 속한다고 한다. 그러나 유로파의 적도에 10m 높이를 가진 얼음 스파이크가 있는데 수직으로 내려오는 햇빛의 영향으로 얼음이 녹아서 균열이 생긴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이는 페니 텐트라고 불린다. 또한 유로파의 십자 지형은 알베도 지형인 것으로 보이는데 알베도 지형이란 태양계 천체의 표면에서 반사율이 다른, 즉 눈에 띄게 밝거나 어두운 부.. 2024.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