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똥비1 별똥비, 혜성 혜성이 충분히 밝아지면 지구에서 망원경의 도움 없이도 관찰할 수 있으며 혜성은 고대 시대부터 계속 관측되어 오면서 여러 문화와 종교에서 관련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혜성은 주변을 덮고 있는 대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소행성과 차이점을 두고 있다. 혜성은 태양에 가까워짐에 따라 기체를 방출하는 태양계의 천체 중 행성이나 왜행성보다 작고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하는 태양계 소천체로 태양의 상부 대기층에서 방출된 전하 입자인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핵 주변의 성운과 같은 덮개인 코마와 꼬리가 생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혜성 주변에 기체와 먼지를 주로 이루고 있는 매우 옅은 대기를 코마라고 부르는데 이 코마가 태양풍의 전자기파에 노출된 물체의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뜻하는 복사압을 받아 태양 반대 방향으로 흘러 .. 2024. 2.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