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자동차 리스는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주기적으로 다양한 차종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계약 조건이나 중도해지 등 여러 면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많습니다.
1. 계약 조건
① 계약 기간
리스 계약 기간이 길수록 월마다 내는 자동차 리스료는 줄어들지만 중도 해지 시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을 해야 합니다.
※ 자동차 리스는 계약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해지할 경우 위약금이 발생하며 그 금액이 꽤 많이 나갈 수 있으므로 계약하기 전에 위약금 조건과 면제 조건 등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② 보험
리스 금액에 보험료가 포함되어 있는지 별도인지 확인해야 하며 보험 종류와 보험 범위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개인 보험 경력 유지가 가능한지 여부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월 납입금
동일 조건이라고 할지라도 담당자에 따라서 월 납입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중간에 중개 수수료가 과다하게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④ 인수 조건
자동차 계약 종료 후에 차량을 인수할 경우 발생하는 추가 비용을 미리 확인하며 잔존 가치에 관해서도 확인해야 합니다.
⑤ 보증금과 선수금 차이
보증금은 계약이 종료되면 돌려받을 수 있지만 선수금은 돌려받지 못합니다. 따라서 보증금으로 할지 선수금으로 할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⑥ 주행 거리
대부분의 리스 계약은 연간 주행 거리에 대해서 제한을 두고 있으며 초과할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주행 패턴을 고려해서 적절한 주행 거리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약 초과 운행했을 경우 추가 비용은 어느 정도인지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⑦ 차량 상태 파악
자동차 리스 전에 차량 상태를 꼼꼼하게 점검해야 하며 기존에 손상이 간 부위가 있다면 미리 사진으로 남겨두거나 기록해 두어야 합니다. 또한 리스 계약 조건에 따라서 차량이 파손되었을 경우 수리비는 본인이 부담할 수 있으므로 수리비 부담 주체를 정확하게 해두어야 합니다.
⑧ 신용 영향
마지막으로 자동차 리스도 금융 상품이므로 본인의 신용등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리스 이용 중에 연체가 발생했을 경우신용도 함께 하락하기 때문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개인 사업자 리스 추가할 경우 고려 사항
① 세금 혜택
리스 차량의 소유주는 리스 회사이므로 보험료와 자동차세는 리스 회사에서 부담하게 됩니다. 따라서 리스 차량은 사업자의 자산에 잡히지 않아서 재산세 납부 의무가 없습니다. 또한 개인 사업자는 리스 비용을 사업 경비로 처리하여 연간 1500만원 한도 내에서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고소득 사업자들에게 유리하며 감가상각비는 연간 800만 원까지 인정됩니다.
② 건강보험료 인상 방지
리스 차량은 개인사업자 명의로 등록되지 않으므로 재산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건강 보험료 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③ 신차 이용
보통 리스계약 기간은 3~5년으로 합니다. 계약이 만료될 경우 새로운 신차로 리스 계약을 갱신하거나 차량을 인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신차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 렌트와 달리 리스 차량은 일반 번호판을 부여받습니다.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만습지에 가면 즐길거리 3가지, 순천만 자전거 대여하는 방법 (2) | 2025.05.01 |
---|---|
서울랜드 플라워즈 페스티벌, 입장료, 서울랜드 주차정보, 할인혜택 (1) | 2025.04.29 |
5월 행사, 한달간 바다캠페인, 바다가는달, 할인쿠폰 (0) | 2025.04.25 |
청와대 밤마실, 서울산책, 청와대 야경 예약하는 방법 (3) | 2025.04.24 |
종합소득세 준비 서류 총정리 (1) | 2025.04.23 |